강릉 가뭄 사태가 남긴 교훈, 물 관리 새로운 대책 필요
강릉을 비롯한 강원 동해안 지역의 가뭄은 올해 또다시 극단적 위기를 불러왔다.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고 제한급수와 급수차 동원에 재난 사태까지 선포된 상황은 더 이상 단순한 자연현상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 가뭄은 불가항력적이지만, 반복된 피해와 관리 실패는 명백한 인재에 가깝다. 이번 사태는 물이 인간 생존의 최전선에 있다는 사실을 다시 일깨우며, 미래 세대를 위한 수자원 관리의 근본적 전환을 요구한다. 1. 물 부족은 예견된 재난이었다 우리나라는 동고서저의 산악 지형 탓에 하상계수가 세계적으로도 높은 편이다. 이는 곧 강수량의 변동 폭이 커서 가뭄과 홍수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는 뜻이다. 올해 강릉이 겪은 위기도 특별한 일이 아니라 반복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현상이었다. 문제는 이를 관리할 제도적 준비가 부족했다는 데 있다. 댐과 저수지 같은 인공 구조물에 대한 선제적 투자가 지연되었고, 예산과 행정 의사결정 과정도 더뎠다. 정부가 계획한 14개 신규 댐 건설이 지역 반대에 밀려 9곳으로 축소된 것은 단기적 반발을 의식한 결정일 수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 국가 물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 결국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강수량 부족 문제가 아니라 준비 부족이 불러온 총체적 위기였다. 가뭄이 재난으로 확대되지 않으려면 ‘예상된 위험에 대한 지속적 대비’가 기본 원칙이 되어야 한다. 2. 성공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 강릉과 가까운 속초는 같은 조건에도 올해 큰 위기를 피했다. 속초는 20여 년 전부터 지하댐을 건설해 비상 수자원을 확보하고, 지하수 개발과 수도관 정비, 정수장 현대화 등을 통해 유수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충남과 충북도 각각 보령댐 공급망 확충, 지천댐 건설, 대형 저수지 정비 등을 통해 물 부족 사태를 극복한 경험이 있다. 이 사례들은 한결같이 ‘장기적 계획과 꾸준한 투자’가 위기를 막았음을 보여준다. 물 관리는 단기간의 임기응변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속초가 가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