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세 도입 논의와 사회적 합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자동화와 인공지능, 그리고 로봇 기술의 확산은 전 세계 노동 시장에 큰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로봇이 단순 반복 노동을 넘어 서비스, 물류, 심지어 의료 분야까지 확장되면서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이제 현실적인 우려로 다가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로봇세(Robot Tax)’다. 로봇이 노동을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세수 부족과 실업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로봇 활용 기업에 과세하자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는 경제 성장, 혁신 저해, 사회적 합의 문제 등 여러 복잡한 쟁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렇다면 로봇세 논의는 어떤 맥락에서 시작되었고, 사회적으로 어떤 합의가 필요한 것일까? 1. 로봇세 도입 배경과 찬반 논리 로봇세 도입 논의는 자동화가 급격히 진행되던 201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한다면, 그만큼 세금을 내는 것이 공정하다"고 주장하면서 세계적 관심을 끌었다. 그의 논지는 간단하다. 사람은 근로를 통해 소득세와 사회보험료를 내지만, 로봇은 아무리 많은 일을 해도 세금을 내지 않는다. 기업이 로봇을 활용할수록 세수 기반은 줄고, 복지 지출은 늘어나므로 불균형을 메우기 위해 로봇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찬성 측은 로봇세가 단순히 세수 확보를 넘어 사회적 형평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로봇 도입으로 혜택을 보는 기업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반대 측은 로봇세가 오히려 혁신을 저해한다고 우려한다. 산업혁명 초기에도 기계화가 대량 실업을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다는 역사적 경험을 들어, 로봇세는 성급한 대책이라는 주장이다. 또한 로봇의 정의가 불명확하다는 현실적 문제도 있다. 단순 기계와 지능형 로봇의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과세 대상 설정 자체가 어렵다. 2. 로봇세가 제기하는 사회·경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