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국유화 논쟁의 현대적 의미
최근 세계 각국에서 ‘기업 국유화(nationalization)’ 논의가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다. 한때 사회주의 국가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국유화가, 오늘날에는 위기 대응이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수단으로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팬데믹, 글로벌 금융위기, 기후 위기, 에너지 공급난 등 잇따른 경제적 충격 속에서 각국 정부는 민간 시장의 불안정을 보완하기 위해 공기업의 역할을 확대하거나 주요 산업에 직접 개입하고 있다. 한국 역시 공공성과 효율성, 그리고 시장의 자유라는 가치 사이에서 어떤 균형점을 찾아야 할지 고민이 깊다. 1. 국유화의 개념과 역사적 맥락 기업 국유화란 정부가 민간 소유의 기업이나 산업을 인수하여 공공의 통제하에 두는 것을 말한다. 본래 국유화는 20세기 초중반 산업화 과정에서 전략 산업을 국가가 직접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등장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는 전력, 철도, 통신, 항공 등 기간산업이 국유화되었고, 영국의 애틀리 노동당 정부는 ‘복지국가’ 건설의 일환으로 대대적인 국유화를 추진했다. 당시 국유화는 자본가 중심의 경제 구조를 완화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는 진보적 정책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상황은 반전되었다. 마거릿 대처의 영국 보수당 정부와 로널드 레이건의 미국 정부는 ‘작은 정부’와 ‘시장 효율성’을 내세워 국유기업을 대거 민영화했다. 이 시기 국유화는 ‘비효율의 상징’으로 간주되었고, 시장 경쟁이 혁신과 생산성을 높인다는 신자유주의적 사고가 확산됐다. 이후 세계화와 자본 이동의 자유가 확대되면서, 국가가 기업 경영에 개입하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흐름이 다시 변했다. 금융시장의 붕괴로 민간 자본이 흔들리자 각국 정부는 주요 은행과 보험사, 항공사 등을 임시 국유화하여 위기를 진정시켰다. 팬데믹 시기에도 비슷한 일이 반복됐다. 에너지와 의료, 물류 등 공공 인프라 기업들이 시장 혼란 속에서 흔들리자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