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유튜브 의존과 중독의 그림자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지금 노인들의 일상에서 디지털 미디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유튜브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다양한 정보와 오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고령층이 가장 많이 의존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용 편의성의 이면에는 중독과 편향된 정보 소비라는 심각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최근 전문가들은 유튜브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인지적 특성과 맞물려 정신 건강과 사회적 관계를 해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유튜브를 신뢰하는 70대 이상 고령층 과기정통부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기준 60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은 83.1퍼센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70대 이상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다른 연령대와 달리 유튜브를 통한 동영상 시청과 뉴스 소비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이다. 전체의 62.9퍼센트가 유튜브를 주요 검색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신뢰하는 플랫폼으로 꼽은 비율도 56.6퍼센트로 가장 높았다. 이는 고령층이 단순히 오락 영상뿐 아니라 사회적 정보와 시사 뉴스를 유튜브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문이나 방송 기사를 텍스트로 접하기보다 유튜브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뚜렷해진 것이다.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의 함정 유튜브는 이용자의 시청 기록과 선호도를 기반으로 영상을 추천한다. 문제는 고령층의 경우 비판적 수용 능력이 떨어지고 추천 결과를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자신과 같은 의견만 반복적으로 접하는 ‘필터 버블’이 강화된다. 정치적으로는 보수 성향 계정에는 보수적 영상이, 진보 성향 계정에는 진보적 영상이 점점 더 많이 노출되는 패턴이 확인됐다. 이는 자신이 믿는 생각이 옳다는 확신을 강화시키고 상대 의견에 대한 적대감을 키운다. 최근 사회 갈등 사건에서 드러났듯 이런 편향된 정보 소비는 때로 극단적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중독과 인포데믹 위험 노년층에서 유튜브 의존이 과도해질 경우 단순한 정보 편향을 넘어 중독 문제가 발생...